서울시, 70세 이상 운전면허 자진반납 어르신께 교통카드 지원

 

서울시는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70세 이상 어르신들의 운전면허 자진반납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에는 운전면허증을 자진 반납하는 70세 이상 어르신 2만9,310명에게 10만원이 충전된 선불형 교통카드를 지급할 계획입니다.

지원 대상 및 혜택

지원 대상은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둔 70세 이상 어르신(면허반납일 기준, '54.12.31.이전 출생자)으로, 소지 중인 운전면허증을 자진 반납하면 거주지 동주민센터에서 1인당 10만원이 충전된 교통카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기존에 운전면허 자진 반납 혜택을 받은 적이 없어야 합니다.

 

지원되는 무기명 선불형 교통카드는 전국 어디서나 버스·택시 등 교통카드를 지원하는 교통수단과 편의점 등 티머니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충전금액 소진 시 본인 비용으로 추가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하철은 6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무임승차제도가 별도로 운영 중이므로 어르신 무료 교통카드를 이용해야 요금 차감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진반납 실적 및 신청방법

서울시 70세 이상 어르신의 운전면허 자진반납 실적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1만6,956명을 시작으로 2022년 2만2,626명, 2023년 2만5,489명이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했습니다.

 

자진 반납을 원하는 70세 이상 어르신은 운전면허증을 소지하고 거주지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서울시는 '고령 운전자 면허 자진반납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면허반납신청부터 교통카드 수령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운전면허증을 분실한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 민원실이나 정부24누리집(minwon.go.kr)에서 발급하는 '운전경력증명서'와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을 제출하면 됩니다. 또한 '19년 3월 28일 이후 서울에 주민등록된 상태에서 운전면허를 자진반납했지만 교통카드를 수령하지 못하고 운전면허만 실효된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에서 발행한 '운전면허취소결정통지서'와 신분증으로 교통카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

서울시의 이번 지원사업은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서울시 전체 교통사고 가해운전자 비율은 인구 10만명당 427.4건인 반면, 70세 이상은 738.3건으로 1.7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면허 자진반납 어르신에 대한 서울시의 지원사업이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앞으로 중앙정부, 티머니복지재단 등과 협력하여 지원 규모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의 이번 '70세 이상 운전면허 자진반납 어르신 교통카드 지원사업'은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을 낮추고, 안전한 교통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해당 연령대 어르신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