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부가가치세 신고가 다가오면서 많은 사업자분들이 신고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고 계십니다. 특히 올해는 홈택스 시스템이 크게 개편되어 더욱 편리해진 신고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및 일정
부가가치세는 연 2회 신고하는 세금으로, 정확한 일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1기 신고 (상반기)
- 과세기간: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 신고 기한: 2025년 7월 25일까지
2기 신고 (하반기)
- 과세기간: 2025년 7월 1일 ~ 12월 31일
- 신고 기한: 2026년 1월 25일까지
부가세 신고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영상 참고하세요.
2025년 홈택스 개편 주요 변화
국세청은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홈택스 시스템을 대폭 개선했습니다. 이전보다 훨씬 간편하게 부가가치세를 신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고서 자동 작성 기능
- 국세청이 보유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전자세금계산서 정보를 활용해 신고서를 자동으로 작성
- 매출이나 공제항목만 수정하면 부가가치세가 자동 재계산되어 납부할 세금을 미리 확인 가능
- 필수 첨부서식도 자동으로 작성되어 시간 절약 가능
개인 맞춤형 서비스
- 로그인 시 신고시기와 과세유형(간이·일반)에 따라 적합한 화면이 자동으로 제공
- 복잡한 신고서식 대신 모든 항목이 한눈에 들어오는 단순한 디자인으로 개편
부가가치세 신고 준비물
신고 전 미리 준비해야 할 서류와 정보들입니다.
필수 준비 서류
- 홈택스 공인인증서 (로그인용)
- 매출내역 (계산서,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카드매출 등)
- 매입내역 (공급받은 세금계산서, 간이영수증, 카드지출 등)
- 사업자등록번호 및 기본정보
TIP: 간편장부 작성이나 매출·매입 내역을 엑셀로 미리 정리해두면 홈택스에 더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단계별)
1.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부가가치세 신고 메뉴 선택
- 로그인 후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 클릭
- 일반과세자 또는 간이과세자 중 해당하는 유형 선택
3. 신고서 작성
- 홈택스가 자동으로 작성한 신고서 내용 확인
- 필요시 매출·매입자료 수정 및 추가 입력
- 세액 자동계산 결과 확인
4. 신고서 제출 및 납부
- 전자신고 제출 버튼 클릭 (중요: 작성만 하고 제출하지 않으면 신고 누락 처리됨)
- 납부세액 확인 후 납부 방법 선택 (은행 방문, 인터넷 뱅킹, 홈택스 등)
신고 시 주의사항
자료 조회 시점
- 홈택스에서 신용카드 매출 자료는 14일부터, 판매·결제 대행 자료 등은 16일부터 조회 가능
- 더 정확한 신고를 위해 16일 이후에 신고하는 것이 권장됨
증빙서류 보관
- 신고와 관련된 모든 증빙서류(세금계산서 등)는 5년간 보관해야 함
신고 기한 준수
- 신고 기한을 넘길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 신고 필요
간편한 신고를 위한 팁
- 평소에 거래 내역을 꼼꼼히 관리해두면 신고 시 누락이나 축소 없이 정확하게 처리 가능
- 필요한 서류(판매가액 자료,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매출 내역, 현금영수증 내역 등)를 미리 발급받아 준비
- 신고서 작성 중 궁금한 점이 있으면 국세청 상담센터를 통해 문의
2025년부터는 홈택스의 개편으로 부가가치세 신고가 훨씬 간편해졌습니다. 자동 작성 기능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고 과정에서의 실수를 줄이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